예전에 웹 호스팅에서 일 200MB에 월 500원짜리 호스팅 서버가 많이 보였었다.
월 500원 수준이면 거의 공짜나 다름없긴 했지만 트래픽 초과시 서비스가 불가능하거나 추가 트래픽 비용을 내는 경우가 많았었고, 요즘 성행하는 클라우드 서버의 경우, 최소 월 몇 천원은 내야 작은 서비스를 서비스할 수 있다.
근데 자세히 보면 마이크로 서비스의 트래픽은 스태틱 파일(js, html, css)이 90%이상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
곧 스태틱 파일을 공짜인데 안심할 수 있고, 속도도 빠른 = gitbub 에서 제공해준다면? 서버코드도 github로 관리하는 요즘, 스태틱 파일 repo를 분리하는 아주 조금의 귀찮음이 있을 지 몰라도 비용, 안정성 측면에서 안쓸이유가 전혀 없다.
개인적으로 개인 포트폴리오나 단순 소개 페이지를 만들어 서비스할때는 이만한 곳이 없다고 생각한다.
사용 방법도 너무 간단하다.
1. repository 만들기 : https://github.com
Build software better, together
GitHub is where people build software. More than 40 million people use GitHub to discover, fork, and contribute to over 100 million projects.
github.com
github 개인 repository를 id.github.com 으로
혹은 조직을 만들었다면 조직명.github.com 으로 레포지토리를 만든다.
아래 스크린샷에서는 테스트를 위해 index.html 파일을 하나 만들어줬다.
2. [Settings - Github Pages] 에서 master branch 선택 후 save
만 하면 끝. 정말 간단하다. 게다가 https도 지원해준다 :)
이후에 https://id.github.io 또는 https://조직명.github.io 로 접속하면 된다.
나의 경우 https://kutility.github.io 로 접속하면 아까 만든 index.html 파일이 잘 보인다.
만약에 repository 안에 lib/test.js 파일을 만들어두면 https://kutility.github.io/lib/test.js 로 파일에 접근할 수 있다.
'개발의 정석 > 툴,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여러 커밋(commit) 하나로 합치기 (3) | 2020.03.26 |
---|---|
[#git] 강제로 이전 커밋(commit) 상태로 되돌리기 (0) | 2020.03.26 |
[#git] git, github를 쓰는 이유와 기본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3.26 |
[#github] 사이트에 커스텀 도메인 등록하기 (0) | 2020.03.25 |
[#github] jsdelivr CDN 서버 무료로 사용하기 (1) | 2020.03.22 |
댓글